2025-2028 교육과정 로드맵
전공역량 정의
핵심 전공역량 정의
| 전공역량 | 정의 |
|---|---|
| 음악 테크놀로지 역량 | 창작 및 제작 관련 테크놀로지 역량을 함양 한다. |
| 콘텐츠 창조 및 경영역량 | 지역을 기반으로 글로벌 공연기획 및 제작 역량을 갖춘 음악인 |
|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현황 이해와 예술 활동 제공 및 적용 역량 | 지역의 문화예술 현황을 분석하고 제공하는 능력 |
| 문화예술 현장의 이해와 적용 역량 |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인식을 확신하고 관련 활동 및 교육을 담당하는 역량 |
| 음악교육 역량 | 미래사회를 위한 창의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인적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자 |
|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역량 | 음악을 기반으로 융합예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역량 |
하위 전공역량 정의
| 전공역량 | 하위 전공역량 | 정의 |
|---|---|---|
| 음악 테크놀로지 역량 | 음악 디지털 학습 및 적용 역량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클래식 음악의 플랫폼 적용 |
| 음악제작 디지털 응용 역량 | 창작 및 제작에 필요한 디지털 활용기술 | |
| 콘텐츠 창조 및 경영역량 | 공연 예술 콘텐츠 개발 역량 | 공연 콘텐츠 창의적 개발 역량 |
| 공연 기획 및 관리 | 기획한 공연 내용을 추진하고 관리하는 역량 | |
|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현황 이해와 예술 활동 제공 및 적용 역량 |
창조적 연주 역량 | 탄탄한 연주 테크닉과 창의적 해석 및 실연역량 |
| 창의적 분석과 적용 | 작품 분석과 해석 | |
| 문화예술 현장의 이해와 적용 역량 | 문화예술 제공을 위한 협업과 소통 | 지역사회와 소통하며 문화예술의 기회 부여 |
| 문화예술 업무 수행 역량 |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역량 | |
| 음악교육 역량 | 교수학습 역량 | 피교육자를 이해하고 그들의 수요에 맞는 교육역량 |
| 교육자적 인성 역량 | 교육자로서의 철학과 가치관 함양 | |
|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역량 | 창의적 융합예술 프로그램 개발 역량 | 융합적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
| 지역사회의 교육여건 분석 역량 | 지역에 필요한 문화예술의 현황을 이해하고 제공을 위해 협업하는 역량 |
교육과정 로드맵
| 전공역량/ 학년학기 |
1-1 | 1-2 | 2-1 | 2-2 | 3-1 | 3-2 | 4-1 | 4-2 |
|---|---|---|---|---|---|---|---|---|
| 음악 테크 놀로지 역량 |
컴퓨터음악프로그램1 | 컴퓨터음악프로그램2 | 무대음향개론 | |||||
| 콘텐츠 창조 및 경영역량 |
뮤지컬제작워크샵 | 캡스톤디자인2 | 뮤직비즈니스 | |||||
| 공연 및 분석 | 전공의이해 전공실기1 제2전공1 퍼포먼스워크샵1 |
전공실기2 제2전공2 퍼포먼스워크샵2 |
전공실기3 퍼포먼스워크샵3 |
전공실기4 퍼포먼스워크샵4 |
전공실기5 퍼포먼스워크샵5 건반음악세미나 |
전공실기6 퍼포먼스워크샵 음악분석연구 스타일분석연구 |
전공실기7 지휘법 |
졸업연주및작품 전공실기8 |
| 문화예술 현장의 이해와 적용 |
앙상블1 | 전공과진로 앙상블2 |
앙상블3 일렉티브1 |
앙상블4 일렉티브2 |
앙상블5 현대발성의이해 |
앙상블6 캡스톤디자인1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해와실습 |
유리드믹스 음악치료의이해 |
|
| 음악교육 역량 | 시창청음1 음악통론 |
음악의이해와감상 시창청음2 기초화성학 |
고급화성학 서양음악사1 국악실습 |
대위법 서양음악사2 즉흥연주기법과반주 |
음악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기초편곡법 |
음악교과교육론 고급편곡법 서양악기연구 |
진로지도 피아노교수법 |
음악교직논리및논술 |
|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역량 |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
진로분야별 이수권장 전공 교과목
| 진로분야 | 이수권장 전공 교과목 | ||
|---|---|---|---|
| 과목명 | 개설학기 | 교육내용 | |
| 음악교사 (중등교원자격증 2급) |
음악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3-1 |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교과교재 및 지도법 연구 |
| 음악교과교육론 | 3-2 | 예비음악교사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음악교육학의 이론과 교육과정 및 교수 방법 학습 | |
| 음악교직논리및논술 | 4-2 | 교직이수 및 교사 준비에 필요한 인성 함양 및 글쓰기 능력 신장 | |
| 퍼포먼스워크샵1 | 1-1 | 동료들 앞에서 공연함으로써 음악 연주자로서의 역량 향상 | |
| 시창청음1,2 | 1-1, 1-2 | 초견 연습과 음을 듣고 귀를 훈련하여 시창과 청음 능력을 향상 | |
| 서양음악사1,2 | 2-1, 2-2 | 음악의 역사에 대해 다루어 통찰력 및 분석적 사고력 신장 | |
| 음악통론 | 1-1 | 음악의 토대가 되는 가장 기초적인 음악 지식 습득 | |
| 기초화성학 | 1-2 | 다양한 음악 장르에 나타난 화성학의 기초 지식 학습 | |
| 즉흥연주기법과반주 | 2-2 | 대중음악의 다양한 장르와 창의적인 즉흥연주 스타일 개발 | |
| 음악분석연구 | 3-2 | 선율, 화성, 리듬을 중점적으로 형식에 대한 분석 | |
| 문화예술사 (문화예술교육사 2급) |
문화예술교육개론(교양) | 매학기 | 국가공인자격증 '문화예술교육사' 취득을 위한 기본적인 교과목 |
| 음악교과교육론 | 3-2 | 예비음악교사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음악교육학의 이론과 교육과정 및 교수 방법 학습 | |
|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 3-2 | 교수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에 적합한 음악적 도구 및 프로그램 개발과 실습 | |
|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해와실습 | 3-2 | 다양한 사례 학습과 연구를 통한 미래의 문화예술 기획, 제작 학습 | |
| 피아노교수법 | 4-1 | 교재 선택부터 커리큘럼 설계까지 다양한 교수방법 습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