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028 교육과정 로드맵
전공역량 정의
핵심 전공역량 정의
| 전공역량 | 정의 |
|---|---|
| 조경계획역량 | 기본구상에 의한 토지이용계획과 동선계획을 통하여 모든 내용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기본계획도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공간별, 부문별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
| 조경설계역량 | 아름다운 경관과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예술적·공학적·생태적인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대상지를 조사 분석하고 공간별·공종별 계획과 설계 능력 |
| 조경시공역량 |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계획을 수립한 후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조경목적물을 생태적·기능적·심미적으로 공사하는 업무 능력 |
| 조경식재역량 | 식재개념 구상, 기능식재 설계, 조경식물의 선정, 식재기반 설계, 교목, 관목, 지피, 초화류 식재설계, 훼손지 녹화 설계, 생태복원 식재설계에 따른 세부적인 설계도면을 작성하는 능력 |
| 조경관리역량 | 연간 계획 수립, 이용자 실태 파악, 이용 방법 지도, 이용 프로그램 기획 개발, 이용 프로그램 운영, 문화 이벤트 행사 관리, 안전 관리, 홍보 마케팅, 자원봉사 운영 관리, 이용 편의개선 업무 역량 |
하위 전공역량 정의
| 전공역량 | 하위 전공역량 | 정의 |
|---|---|---|
| 조경계획역량 | 환경조사분석 |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수요자 요구조사를 통해 대상지 내 자연생태환경과 인문사회환경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대상지가 지닌 문제점과 잠재력을 파악하여 대상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능력 |
| 조경기본계획 | 기본구상에 의한 토지이용계획과 동선계획을 통하여 모든 내용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기본계획도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공간별, 부문별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 |
| 조경설계역량 | 조경기본구상 | 계획방향에 따라 개념을 설정하고 공간을 기능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시설의 종류와 규모를 산정하여 최적의 대안을 결정하는 능력 |
| 주택정원설계 | 개인 주택, 공동 주택, 주거 단지 내 소정원 등을 대상으로 사전 협의와 대상지 조사를 통해 공간을 구상하여 기본 계획안을 수립하고 기반 설계, 식재 설계, 시설물 설계 등에 관한 설계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 |
| 조경시공역량 | 조경시설물공사 | 설계도서에 따라 필요한 자재와 시설물을 구입하여 조경시설물을 생태적·기능적·심미적으로 배치하고 설치하는 능력 |
| 조경공무관리 | 공사진행을 위해 설계도서를 검토하여 실행예산을 편성하고, 시공계획서, 현장서류를 작성하고 자재승인 발주, 설계변경, 기성고 작성, 준공 준비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 |
| 조경식재역량 | 일반식재공사 | 설계도서에 따라 식재계획을 수립하고 가식, 식재기반을 조성하여 식물을 생태적·기능적·심미적으로 식재하는 능력 |
| 식재설계 | 식재 개념 구상, 기능 식재 설계, 조경 식물의 선정, 식재 기반 설계, 교목·관목·지피·초화류 식재 설계, 훼손지 녹화 설계, 생태 복원 식재 설계에 따른 세부적인 설계도면을 작성하는 능력 | |
| 조경관리역량 | 이용관리 | 이용관리 연간계획 수립, 이용자 실태파악, 이용 방법 지도, 이용프로그램 기획, 개발, 이용프로그램 운영, 문화 이벤트 행사 관리, 안전관리, 홍보 마케팅, 자원봉사 운영, 관리, 이용편의 개선을 수행하는 능력 |
| 병해및충해관리 | 연간 병해 방제 계획 수립, 병해 예방, 병해 진단, 생리적 피해 진단, 병해 방제, 병해 식물 처리를 수행, 연간 충해 방제 계획 수립, 예방, 진단, 방제, 피해식물 처리를 수행하는 능력 |
교육과정 로드맵
| 전공역량 학년학기 |
1-1 | 1-2 | 2-1 | 2-2 | 3-1 | 3-2 | 4-1 | 4-2 |
|---|---|---|---|---|---|---|---|---|
| 조경계획/ 능력 |
전공의이해 조경영어 조경컴퓨터디자인 조경수목학 조경학개론 |
전공과진로 조경기초설계 조경컴퓨터시뮬레이션 도시건축조경개론 |
조경계획 조경기본구상 환경조사분석 주택정원설계 지리정보체계 조경포럼 |
조경기본계획 조경설계프리젠테이션 조경미학 조경공무관리 식물자원조경교과교육론 세계역사정원재현 |
단지설계스튜디오 조경시설물공사 이용관리 식물자원조경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한국전통정원설계 문화경관계획및설계 |
캡스톤디자인1 도시공간디자인론 조경적산 주제공간설계 식물자원조경교직논리및논술 |
진로지도 캡스톤디자인2 환경설계법규 환경설계스튜디오(캡스톤 디자인) 조경스마트계획및설계 국가조경유산론 |
졸업논문 도시재생 현대조경론 정원식물재료학 조경BIM설계 |
| 조경설계 능력 |
전공의이해 조경영어 조경컴퓨터디자인 조경학개론 |
전공과진로 조경기초설계 조경컴퓨터시뮬레이션 도시건축조경개론 조경디자인랭귀지 |
조경계획 조경기본구상 환경조사분석 주택정원설계 지리정보체계 조경포럼 |
조경기본계획 조경설계프리젠테이션 조경미학 조경시설설계 조경공무관리 |
단지설계스튜디오 조경시설물공사 이용관리 식물자원조경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한국전통정원설계 식재설계 문화경관계획및설계 |
캡스톤디자인1 도시공간디자인론 조경적산 주제공간설계 식물자원조경교직논리및논술 |
진로지도 캡스톤디자인2 환경설계법규 환경설계스튜디오(캡스톤 디자인) 조경스마트계획및설계 국가조경유산론 |
졸업논문 도시재생 현대조경론 정원식물재료학 조경BIM설계 |
| 조경시공 능력 |
전공과진로 | 조경포럼 | 조경미학 조경시설설계 조경공무관리 식물자원조경교과교육론 세계역사정원재현 |
단지설계스튜디오 조경시설물공사 식물자원조경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한국전통정원설계 식재설계 문화경관계획및설계 |
도시공간디자인론 병해및충해관리 조경적산 일반식재공사 생태복원공사 식물자원조경교직논리및논술 |
진로지도 환경설계법규 |
졸업논문 | |
| 전공의이해 조경학개론 |
||||||||
| 조경식재 능력 |
전공과진로 | 조경포럼 | 조경공무관리 식물자원조경교과교육론 |
조경시설물공사 식물자원조경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식재설계 |
병해및충해관리 조경적산 일반식재공사 생태복원공사 |
진로지도 국가조경유산론 |
정원식물재료학 | |
| 전공의이해 조경수목학 조경학개론 |
||||||||
| 조경관리 능력 |
전공과진로 | 지리정보체계 조경포럼 |
조경공무관리 식물자원조경교과교육론 |
이용관리 식물자원조경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문화경관계획및설계 |
캡스톤디자인1 병해및충해관리 |
진로지도 캡스톤디자인2 환경설계법규 국가조경유산론 |
현대조경론 정원식물재료학 |
|
| 전공의이해 조경학개론 |
진로분야별 이수권장 전공 교과목
| 진로분야 | 이수권장 전공 교과목 | ||
|---|---|---|---|
| 과목명 | 개설학기 | 교육내용 | |
| 조경 계획/ 설계 전문 인재 |
환경조사분석 | 2-1 |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수요자 요구조사를 통해 대상지 내 자연생태환경과 인문사회환경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대상지가 지닌 문제점과 잠재력을 파악하여 대상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능력 |
| 조경기본구상 | 2-1 | 계획방향에 따라 개념을 설정하고 공간을 기능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시설의 종류와 규모를 산정하여 최적의 대안을 결정하는 능력 | |
| 주택정원설계 | 2-1 | 개인 주택, 공동 주택, 주거 단지 내 소정원 등을 대상으로 사전 협의와 대상지 조사를 통해 공간을 구상하여 기본 계획안을 수립하고 기반 설계, 식재 설계, 시설물 설계 등에 관한 설계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 |
| 조경기본계획 | 2-2 | 기본구상에 의한 토지이용계획과 동선계획을 통하여 모든 내용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기본계획도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공간별, 부문별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 |
| 조경 시공 전문 인재 |
조경공무관리 | 2-2 | 공사진행을 위해 설계도서를 검토하여 실행예산을 편성하고, 시공계획서, 현장서류를 작성하고 자재승인 발주, 설계변경, 기성고 작성, 준공 준비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
| 조경시설물공사 | 3-1 | 설계도서에 따라 필요한 자재와 시설물을 구입하여 조경시설물을 생태적·기능적·심미적으로 배치하고 설치하는 능력 | |
| 식재설계 | 3-1 | 식재 개념 구상, 기능 식재 설계, 조경 식물의 선정, 식재 기반 설계, 교목·관목·지피·초화류 식재 설계, 훼손지 녹화 설계, 생태 복원 식재 설계에 따른 세부적인 설계도면을 작성하는 능력 | |
| 일반식재공사 | 3-2 | 설계도서에 따라 식재계획을 수립하고 가식, 식재기반을 조성하여 식물을 생태적·기능적·심미적으로 식재하는 능력 | |
| 조경 관리 전문 인재 |
이용관리 | 3-1 | 이용관리 연간계획 수립, 이용자 실태파악, 이용 방법 지도, 이용프로그램 기획, 개발, 이용프로그램 운영, 문화 이벤트 행사 관리, 안전관리, 홍보 마케팅, 자원봉사 운영, 관리, 이용편의 개선을 수행하는 능력 |
| 병해및충해관리 | 3-2 | 연간 병해 방제 계획 수립, 병해 예방, 병해 진단, 생리적 피해 진단, 병해 방제, 병해 식물 처리를 수행, 연간 충해 방제 계획 수립, 예방, 진단, 방제, 피해식물 처리를 수행하는 능력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