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수소개

이용하학과장
신입생과 재학생에게 남기는 말
- 원예산림학과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여러분이 매일 섭취하는 신선한 채소와 과일들, 그리고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하는 다양한 꽃들과 관상식물들이 모두 원예식물입니다. 원예식물은 인류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삶의 질이 중요해진 현대 사회에서 의약, 예술, 심리학,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원예학은 식물의 기본 생리에 대해 배울 뿐 아니라 식물을 우리 실생활에 어떻게 이용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지 배우는 실용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조사와 분류가 주를 이루고 있던 산림 분야도 최근 산림 식물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대국민 서비스를 할 수 있을지 관심이 커가고 있으며 점차 원예와 산림 분야가 중첩되는 부분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저는 원예학 분야 중에서도 주로 관상식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산림 종자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 종자가 어떤 휴면을 가지고 있고 또 어떻게 타파를 시켜 번식을 할 수 있는지 연구하며, 최근에는 스마트팜 분야에도 관심이 있어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꽃을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보존화 기술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습니다.
학부 학생들에게는 원예산림과학의이해, 식물생리학, 화훼학및실습, 토양학, 원예산림실습 등의 수업을 하며 원예 분야의 전문지식을 쌓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동아리 지도 및 개인 상담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 진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지도하고 있습니다.
학력사항
- 서울대학교 농학박사(원예과학전공 전공)
- 서울대학교 농학석사(원예과학전공 전공)
- 서울대학교 학사
경력 및 활동
- 원예과학기술지(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화훼분과 부편집위원장
- 한국화훼학회(Flower Research Journal) 편집위원
- 인간식물환경학회(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편집위원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편집위원
-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Germplasm of Ornamentals, International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ISHS) - Associate editor
- 대전광역시 서구 대학생 행복나눔봉사단 자문위원
- 2019. 3 – 2023. 2 : 배재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e-러닝센터장
- 2019. 2 – 현재 : 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학과장
- 2017. 3 – 현재 : 배재대학교 부교수
- 2016. 1 – 2017. 2 :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 2015. 2 – 2015. 12 : 산림청 국립수목원 박사후연구원
- 2006. 4 – 2008. 10 : KOICA 국제협력요원
주요연구분야
- 종자휴면의 생태생리, 휴면유형 분류 및 번식 방법 개발
- 관상식물의 개화조절 및 주년생산
- ICT융복합기술을 이용한 재배기술개발
논문
- Synthesis of Nanocomposite Hydrogels for Improved Water Retention in Horticultural Soil, ACS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2022.
- Acid Scarification Completes the Germination of Hovenia dulcis Seeds, Agronomy, 2022.
- 한국 자생 으아리속 식물 종자의 형태적 및 형태생리적휴면, 화훼연구, 2022.
-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배율에 따른 국화 생육, 화훼연구, 2022.
- Spray Coating of Nanosilicate-Based Hydrogel on Concrete,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2022.
- Seed Dormancy Class and Ecophysiological Features of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Scrophulariaceae) Native to the Korea Peninsula, Plants, 2022.
-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Four Bedding Plants in Substrate Containing Coal Bottom Ash Mixed with Coir Dust, AGRONOMY-BASEL, 2021.
- 염 스트레스에 따른 가침박달(Exochorda serratifolia)의 생장과 항산화 반응, 화훼연구, 2021.
- 차광에 따른 자생식물 너도개미자리의 생장반응, 자연과학논문집, 2020.
- 보존용액 조성에 따른 리시안서스 ‘로벨라’의 절화수명과 품질, 자연과학논문집, 2020.
- 차광수준에 따른 섬꼬리풀과 큰구와꼬리풀의 생장, 화훼연구, 2020.
-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of Asarum sieboldii, a disjunct relict species in East Asia, Plant Biology, 2020.
- 제비꽃과 남산제비꽃의 종자 휴면과 저장에 따른 발아 특성, 화훼연구, 2020.
- 토양 수분 함량에 따른 너도개미자리, 벼룩이울타리, 산괴불주머니의 노지 생육,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020.
- ABA synthesis inhibitor inducing flowering of dormant peony without bud abortion, Acta Horticulturae, 2020.
-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of Epimedium koreanum Nakai, SCIENTIA HORTICULTURAE, 2020.
- 아두이노를 활용한 다지점 토양수분 측정 시스템 개발, 자연과학논문집(Journal of Natural Sciences), 2019.
- Growth and flowering of Phalaenopsis with various bottom ash and coir dust substrate mixes, Acta Horticulturae, 2019.
- Deep Simple Epicotyl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S.Moore) Takht., a Rare Species in Korea,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2019.
- Embryo growth and dormancy in seeds of six Hosta species native to Korea, Plant Species Biology, 2019.
- 한반도 자생식물 헐떡이풀 종자의 휴면유형과 발아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18.
- Production Traits of Garden Mums Subjected to Various Substrate Water Contents at a Commercial Production Farm, HORTICULTURE JOURNAL, 2018.
-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Bottom Ash and Coir Dust Mix Used as Horticultural Substrates,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2018.
- Dormancy breaking and germination requirements of seeds of Thalictrum uchiyamae (Ranunculaceae) with underdeveloped embryos, SCIENTIA HORTICULTURAE, 2018.
- 배지조성에 따른 무릇(Barnardia japonica)의 영양생장, 자연과학논문집, 2017.
- 장일처리에 따른 해녀콩[Canavalia lineata(Thunb.) DC.]의 생육촉진, 자연과학논문집, 2017.
- Substrate Water Content Influences the Flowering of Doritaenopsis Queen Beer ‘Mantefon’ , HORTSCIENCE, 2017.
- Effect of After-Ripening, Cold Stratification, and GA(3) Treatment on Lychnis wilfordii (Regel) Maxim Seed Germination,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2017.
- 삽목 상토의 용적수분함량이 수국 삽목 발근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 화훼연구, 2017.
저역서
- 화훼학(공동 저자), 월드사이언스, 2021
- 생애 첫 야생화 쉽게 키우기, 자연과생태, 2020.
- 기본 화훼 식물도감 : 화훼식물명인증시험용, 플로라, 2017.
수상실적
- 2023년 배재대학교 공로상
- 2023년 한국화훼학회 우수논문상
- 2022년 Flower Research Journal 최우수심사위원 수상
- 2021, 2022년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최우수심사위원 수상
- 2021년 배재대학교 연구우수교원
- 2018년 배재대학교 강의우수교원
공동연구실적
- 2021 – 현재 : 다기능 하이드로겔 기반 토양개량제의 개발 (농림축산식품부)
- 2021 – 현재 : 임산물 품종개량과 종자 생산기반 확립을 통한 산림자원의 효율성 향상과 산림 경영의 극대화 제고 (산림청)
- 2021 - 현재 : 유용 자원식물 대량증식법 개발(목본식물) (국립수목원)
- 2018 - 2022 : 야생화 산업화를 위한 신관상식물 내환경성 구명 (국립수목원)
- 2019 - 2020 : 그린캠퍼스 환경동아리 지원 사업 (한국환경공단)
- 2017 - 2020 : 한반도 유용식물의 종자휴면 체계 구축 (한국연구재단)
- 2018 : 깻잎 토양유래 유해물질 분석관리 (금산군농업기술센터)
특허 및 지적재산권
- 등록 - 예냉처리를 이용한 다년생 식물의 재배 방법(10-1434276)
- 출원 - 인삼 종자 개갑 장치(10-2018-016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