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028 교육과정 로드맵
전공역량 정의
핵심 전공역량 정의
| 전공역량 | 정의 |
|---|---|
| 스마트팜 기술 | ICT/AI를 활용한 작물의 생육환경을 자동/원격으로 관리하는 농업시스템 |
| 화훼장식 기술 | 꽃과 식물을 활용하여 미적, 기능적, 상징적인 장식을 창작하는 기술 |
| 식물보호 기술 | 작물의 건강을 유지하고, 병해충 및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기술과 관리 방법 |
| 식물재배 기술 | 작물의 생육을 최적화하여 안정적인 생산성과 품질을 확보하는 과학적·기술적 방법 |
| 산림복지 이해 | 산림이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인식하고, 이를 인간의 건강, 삶의 질, 사회적 복지 증진에 활용하는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 |
하위 전공역량 정의
| 전공역량 | 하위 전공역량 | 정의 |
|---|---|---|
| 스마트팜 기술 | 식물 재배환경 제어 능력 | 식물의 생육을 최적화하기 위해 환경 요소를 조절하고 관리하는 능력 |
| 전반적 식물생리 이해 능력 | 식물의 생명 활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업 및 생명과학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역량 | |
| 화훼장식 기술 | 화훼생리이해 능력 | 꽃과 관상식물의 생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생육·개화·보존·품질 향상 등에 적용하는 능력 |
| 화훼장식디자인 능력 | 식물과 꽃을 예술적·기능적으로 활용하여 공간을 연출하고, 감성적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 | |
| 식물보호 기술 | 식물 병해충 진단 및 처치 대응 능력 | 농업 생산성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식물 관리 및 환경 보호를 실현하는 기술 역량 |
| 전염원 진단 및 대응 능력 | 병해 발생의 원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확산을 방지하며, 지속 가능한 방제 전략을 수립하는 역량 | |
| 식물재배 기술 | 식물병해충 및 토양환경 측정 능력 | 작물의 생육 상태를 분석하고, 병해충 피해 및 토양 환경 변화를 정밀하게 진단하여 최적의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역량 |
| 안전농산물 생산시스템 파악 능력 | 농산물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현하는 역량 | |
| 산림복지 이해 | 산림치유자원 적용 능력 | 산림의 자연적 치유 기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하는 핵심 역량 |
| 생애주기별 숲 체험 프로그램 기획 능력 | 각 연령대에 맞는 체험 활동을 설계하고, 산림의 치유적·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역량 |
교육과정 로드맵
| 학년학기 전공역량 |
1-1 | 1-2 | 2-1 | 2-2 | 3-1 | 3-2 | 4-1 | 4-2 |
|---|---|---|---|---|---|---|---|---|
| 스마트팜 기술 | 농장실습 재배학범론 |
컴퓨터활용및실습 | 식물생리학 채소학및병해충실습 시설원예학 |
토양학및병해충관리 | 화훼학및병해충실습 과수학및병해충실습 |
스마트팜및실습 농림해충학및실습 |
원예치료학 | |
| 화훼장식 기술 | 플라워디자인및실습 | 화훼장식학 | 원예산림병해충실습 | 허브및아로마테라피 | ||||
| 식물보호 기술 | 전공의이해 | 안전농산물생산 | 식물보호학및실습 | 식용작물학및병해충실습 | 진로지도 | 졸업지도 | ||
| 식물재배 기술 | 식물번식학및실습 | 식물유전육종학 | 캡스톤디자인1 식물조직배양학및실습 |
캡스톤디자인2 | 원예산림세미나 | |||
| 산림복지 이해 | 수목의이해 | 전공과진로 숲과인간 |
수목학및실습 식물보호학및실습 정원휴양문화 |
농약및잡초방제 산림생태학 임도및사방공학 |
산림치유학및실습 산림자원식물학 |
산림관련법규 조림학 |
산림보호학및실습 산림복지학 원예산림실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