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수소개

안영직교수
학력사항
- 배재대학교 농학박사(원예학 전공)
- 배재대학교 농학석사(원예학 전공)
- 배재대학교 학사
논문
- Evaluating the Effects of Long-Term Salinity Stress on theGrowth and Physiology of Mono and Mixed Crops, agronomy, 2024.
-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홍삼커피 선택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024.
-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Growth of Forage Rice in Reclaimed and General Paddy Fields, PLANTS-BASEL, 2024.
- 건강관심도에 따른 인삼·홍삼차의 소비행태와 선택속성 분석, 한국외식산업학회지, 2023.
- 농촌융복합산업 지원 운영 개선방안 도출: IPA분석을 통한 예산 집행률 개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3.
- Effect of plastic film rain shelter installation in Asian pear orchards on frost and freeze damage and fruit qualit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023.
- 백삼으로부터 고농도 진세노사이드 추출에 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2023.
- Effect of essential oils and linalool on berry quality during simulated marketing of ‘Shine Muscat’ grap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022.
- Effect of PGRs and various co-packing materials on storage quality in ‘Shine Muscat’ grap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021.
- 한국산 무취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효과 분석,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2020.
- Effects of film liners, ethylene scrubber, alcohol releaser and chlorine dioxide on the berry quality during simulated marketing in ‘Campbell Early’ grap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020.
- Salicylic acid 및 1-MCP 처리가 ‘캠벨얼리’ 포도의 생리장해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시설원예‧식물공장, 2019.
- 배‘신화’의 수확시기별 품질 요인 변화 및 모의유통 환경에서 1-methylcyclopropene 처리 반응성, 농업생명과학연구, 2019.
- 소비자의 성별에 따른 절임식품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19.
-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소비자의 절임식품 선택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019.
- 중부지방의 난대성 수종 기후 적응도 분석, 배재대학교자연과학논문집, 2018.
- Effect of different pollen sources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quality in ‘Niitaka’ pears (Pyrus pyrifolia Nakai),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017.
- 조생종 ‘한아름’ 배 모의유통 전 예건처리 온도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016.
- Aminoethoxyvinylglycine 처리에 따른 조생종 배 유통기간 중 품질변화및 생리장해 경감, 원예과학기술지, 2014.
- 정보통신산업으로서 e-Book 비즈니스 전략,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14.
- Ethephon 및 Aminoethoxyvinylglycine 처리가 ‘원황’ 배 모의 수출 환경에서의 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농업과학연구, 2013.